051-861-7575

전체메뉴

연산당당한방병원은
언제나 여러분들
곁에 있습니다.
  • 상호명 : 연산당당한방병원
  • 대표자 : 성진욱
  • 사업자등록번호 : 154-59-00644
  • 주소 :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82, 1~8층

부주상골증후군비수술치료 특히 이 스포츠를 즐긴다면 나타나기 쉬운 발 안쪽 통증 주의

본문

안녕하세요, 성진욱 한의사입니다.

오늘은 많은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청소년들이 경험하지만 종종 간과되는 부상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코치님, 발 안쪽이 계속 아파요."

"며칠만 쉬었다가 다시 해보자."

 

이런 대화가 반복되는 현장을 많이 보셨나요?

단순한 피로처럼 보이는 통증이 지속된다면, 그것은 '부주상골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 몸의 발달 과정에서 때때로 발생하는 작은 해부학적 변이가 있습니다.

부주상골(Accessory Navicular)은 발 내측 아치의 중심부에 위치한 주상골 옆에 존재하는 추가적인 뼈 조직입니다.

인구의 약 2-14%가 이 작은 추가 뼈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은 평생 아무런 문제없이 살아갑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 이 작은 뼈는 심각한 불편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부주상골은 세 가지 다른 형태로 나타납니다.

 

제1형: 후경골근 힘줄 내에 위치한 작은 종자골 형태로, 주상골과 분리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습니다.

제2형: 삼각형이나 하트 모양의 뼈 조각이 연골을 통해 주상골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증상을 유발하는 유형으로, 평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제3형: 부주상골이 주상골과 완전히 융합되어 하나의 큰 골극 형태를 이룹니다.

 

 

 축구/ 농구/ 배구 구기 종목 선수들, 무용가, 빙상/인라인 선수, 육상 선수

 

격한 방향 전환과 점프를 많이하거나 반복적인 달리기 등의 행동은 특히 발 내측에 극도의 압박을 가합니다.

그렇게 되면 부주상골 부위에 압력을 집중시킬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자극이 가고 통증 유발 원인이 됩니다.

 

직업 특성상 발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분들이거나, 관련된 취미 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위험군에 속하니 정기적으로 검사 및 진단 받아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상성 요인 : 발목 염좌나 부상 후 불완전한 회복

기계적 요인 : 부적합한 신발 착용으로 인한 지속적 마찰

과사용 증후군 : 충분한 휴식 없는 고강도 트레이닝

구조적 요인 : 평발이 부주상골에 가하는 추가적인 압력

 

 

부주상골 증후군은 단독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다른 족부 질환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의학적 근거를 함께 제시합니다.

 

부주상골 증후군과 평발의 연관성

의학적 근거 :

  • Kido 등(2014)의 연구에 따르면, 부주상골 타입 II가 있는 환자들의 약 70-90%에서 평발 변형이 발견되었습니다.

  • Bernaerts 등(2019)은 부주상골의 존재가 후경골근(Posterior Tibial Tendon)의 기능 이상을 초래하여 족부의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 지지 능력을 감소시킴을 밝혔습니다.

  • 해부학적으로 후경골근은 주상골에 부착되어 족부 아치를 유지하는 핵심 역할을 하는데, 부주상골은 이 힘줄이 비정상적으로 당겨지게 하여 기계적 효율성을 감소시킵니다.

부주상골증후군과 족저근막염의 연관성

의학적 근거 :

  • Prichasuk과 Sinphurmsukskul(1995)의 연구에서는 평발이 있는 환자에서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과도한 장력이 족저근막염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고했습니다.

  • Weist 등(2006)의 생체역학 연구에 따르면, 평발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뒤꿈치 외번(eversion)이 족저근막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가하게 됩니다.

  • 부주상골 증후군으로 인한 아치 붕괴는 족저근막의 반복적인 미세 손상을 초래하여 염증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부주상골증후군과 무지외반증의 연관성

의학적 근거 :

  • Lee 등(2017)의 연구는 평발과 무지외반증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했습니다. 평발이 있는 환자는 정상 아치를 가진 환자보다 무지외반증 발생 위험이 2.1배 높았습니다.

  • Perera 등(2011)은 평발로 인한 중족부(midfoot)의 불안정성이 제1중족지 관절(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에 비정상적인 힘을 가하여 무지외반증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 생체역학적으로, 부주상골 증후군으로 인한 평발은 보행 중 회내(pronation)를 증가시키고, 이는 첫 번째 중족골의 불안정성과 내측 편위를 촉진하여 무지외반증 발달에 기여합니다.

 

 

부주상골증후군비수술치료 로도 효과적인 자가 관리가 가능합니다.

통합적 접근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체중 관리

놀랍게도 2-4.5kg의 체중 감량만으로도 보행 시 발에 가해지는 부하를 7-13kg까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부주상골과 연관 구조물의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자가 운동 프로그램

 

비골근 스트레칭: 발목 바깥쪽 근육의 유연성 증진 (15초 유지, 일일 5분)

 

 

내재근 강화: 골프공 위에서 발을 굴리는 운동 (일일 5분)

 

 

후경골근 강화: 발목 내번 운동 (5초 유지, 12회×3세트)

 

중둔근 강화: 옆으로 누워 다리 들어올리기 (5초 유지, 12회×3세트)

 

 

맞춤형 족부 보조기

열성형 인솔은 단단한 타입의 깔창보다 효과적으로 아치를 지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합니다.

개인별 발 형태에 맞춘 보조기는 장기적인 증상 관리에 핵심입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성장과 관련해서 스포츠 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죠.

그러나 지속적인 발 내측 통증은 단순한 피로 이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부주상골 증후군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는 청소년 선수들이 중단 없이 스포츠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발 건강은 전신 건강의 기초입니다.

발이 아프면 모든 동작이 제한되고, 삶의 질이 저하됩니다.

 

지금 여러분의 발은 건강한가요? 증상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세요.

건강한 발로 더 높이, 더 멀리 나아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성진욱 한의사가 더 궁금하시다면? ▶▶Click!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주세요.

빠른상담

상담 신청을 위한 정보를 남겨주시면
보다 빠른 상담이 가능합니다.